족저근막염 원인, 통증, 치료방법, 발바닥 발뒷꿈치 관리 중요성

  • Post category:NEWS
족저근막염 원인

족저근막염 원인, 통증, 그리고 평상 시 발바닥과 뒷꿈치 관리를 잘 해야 하는 이유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게시글은 국가건강정보포털과 서울대병원 의학정보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족저근막이란?

족저근막은 발바닥 근육을 싸고 있는 섬유조직으로 된 두꺼운 막을 가리키며, 이 발바닥 근육에 통증을 유발한 경우를 족저근막염(plantar fasciitis)이라고 합니다.

발꿈치뼈(종골) 안쪽에서 시작되어 발가락뼈까지 이어지며 발바닥활(발바닥 아치)을 형성하고, 걸을 때 발이 튼튼하게 힘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데,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기면 통증을 유발합니다.

족저근막염 일상적 원인

족저근막염이 발생하는 흔한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평상시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한 경우, 장거리의 달리기 또는 조깅을 심하게 하는 경우, 딱딱한 바닥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을 하는 경우, 평소보다 체중이 늘어난 경우, 장시간 서 있는 환경의 조건이 늘어난 경우, 쿠션이 없는 신발 또는 하이힐을 장시간 착용한 경우에 족저근막염이 발병하기 쉽습니다.

족저근막염 치료 방법

족저근막염을 치료하는 방법의 두 가지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잘못된 운동 방법이나 무리한 운동량, 불편한 신발 착용 등 교정할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은 운동요법으로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나 오랫동안 앉아 있다가 걷기 전에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효과적으로 늘이는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니다.

이 외에도 보조기 착용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체외충격파 요법 등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를 함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는다면 족저근막을 늘여주는 수술적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방치는 금물

족저근막이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기는 원인은 반복적인 충격(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염증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미세 외상을 입거나, 무리하게 많이 사용할 경우 생기는 통증으로부터 발병합니다.

아킬레스건이 짧아서 종아리와 발꿈치가 뻣뻣한 경우, 달리기 등 근막에 높은 긴장이 가해지는 운동을 많이 하거나 바닥이 딱딱하고 얇은 신발을 많이 신는 경우에도 잘 발생합니다.

딱딱한 바닥 위를 많이 걸어도 족저근막염 발생 빈도가 높아집니다.

족저근막염을 장기간 방치한다면, 평발이나 오목발일 경우에도 증상은 더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긴장 속에서 족저근막염을 방치하거나 대수롭지 않은 일로만 여긴다면, 통풍, 루푸스, 강직성척추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 전신 질환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예방하는 방법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평소 일정하면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또, 무리하고 과격한 운동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으며, 하이힐 보다는 편한 쿠션감이 있는 컴포트슈즈가 좋습니다.

노면으로부터 받는 발바닥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것부터 족저근막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증세가 있다고 의심되는 초기에는 오래 걷거나 달리지 않아야 합니다.

더 증세가 심해진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까운 병원 및 의원을 찾아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거나, 가까운 약국을 방문해 족저근막염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일반 의약품이나 패치를 구매하여 통증을 완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보험공단 건강상식노트 보기